예비군 5~6년차 기본 훈련. 작계 훈련

이미지
예비군 5~6년차 기본 훈련. 작계 훈련   1. 기본훈련  기본훈련은 5~6년 차 예비군을 대상으로 전투력 유지와 지역 방어 훈련을 실시하는 과정 입니다. (1) 대상 5~6년 차 예비군 동원훈련 대상에서 제외된 예비군 기본적인 전투 기술을 유지해야 하는 예비군 💡 1~4년 차 예비군과 달리 강도 높은 훈련이 아닌, 기본적인 전투 기술 유지 훈련이 중심입니다. (2) 훈련 기간 및 내용 훈련 기간: 1일 (8시간) 출퇴근 훈련 장소: 지역 예비군 훈련장 주요 훈련 내용: 소총 사격 훈련 개인 전투 기술 복습 화생방 대응 훈련 응급처치 및 대테러 교육 민방위 훈련과 유사한 지역 방어 훈련 💡 군사훈련보다는 개인 전투기술과 지역방어 개념 숙달이 중심입니다. (3) 보상 및 지급 사항 훈련비: 1일 10,000원 지급 (2025년 기준) 중식 제공 교통비 지급 가능 (거리 기준 차등 적용) 2. 작계훈련 (작전계획 훈련) 작계훈련은 전시 지역 방어 작전 수행 능력을 유지하는 훈련 으로, 예비군이 실제 전시나 비상사태 시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훈련하는 과정입니다. (1) 대상 5~6년 차 예비군 해당 지역에서 방어 임무를 수행할 예비군 민방위 대체 전 단계로 지역방어 개념을 배우는 훈련 💡 작계훈련은 예비군 부대별로 작전계획에 따라 편성되며, 실제 전시 상황을 가정한 훈련이 포함됩니다. (2) 훈련 기...

민방위 훈련 연차별 훈련 종류와 내용

민방위 훈련 연차별 훈련 종류와 내용, 참여 시 복장 및 준비물

민방위 훈련은 전시 및 재난 상황 발생 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시행되는 훈련입니다. 민방위 대원은 연차에 따라 다른 훈련을 받으며, 훈련 참여 시 복장과 준비물 등을 미리 숙지해야 합니다.


1. 민방위 연차별 훈련 종류와 내용

민방위 훈련은 연차별로 구분되며, 1~4년 차는 실전 중심 훈련, 5년 차 이후는 기본 교육과 이론 중심 훈련이 진행됩니다.

✅ 민방위 연차별 훈련 개요

  • 1~4년 차: 집합교육 (연 1회, 4시간)
  • 5년 차 이후: 사이버 교육 또는 비상소집훈련 (연 1회, 1시간 내외)

✅ 1~4년 차: 집합교육

  • 재난 대응 훈련 (화재, 지진, 홍수 등)
  •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실습
  • 화생방 방호 및 대피 훈련
  • 전시 대비 민방위 업무 숙달

✅ 5년 차 이후: 사이버 교육 또는 비상소집훈련

  • 온라인을 통한 민방위 교육 (스마트폰, PC 가능)
  • 비상 소집 후 간단한 교육 진행 (필요 시 실습 포함)


2. 민방위 훈련 참여 시 복장 및 준비물

✅ 훈련 참여 시 복장

  • 편안한 복장 (군복 착용 불필요)
  • 운동화 또는 활동하기 편한 신발
  • 야외 훈련 시 모자 착용 가능

✅ 준비물

  •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 민방위 교육 통지서 (온라인 확인 가능)
  • 필기도구 (필요 시 기록용)
  • 개인 물품 (물, 간단한 간식 등)


3. 민방위 훈련 시 유의사항

✅ 훈련 불참 시 불이익

  • 훈련 불참 시 과태료 부과 (최대 50만 원)
  • 정당한 사유 없이 불참 시 추가 교육 대상

✅ 훈련 중 유의사항

  • 훈련 중 휴대폰 사용 제한 (강사의 지시에 따름)
  • 응급처치 실습 시 적극적인 참여 필요
  • 대피 훈련 시 안전수칙 준수 필수


민방위 훈련은 국가적 재난이나 전시 상황에서 국민 보호를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연차별 훈련 내용을 숙지하고, 훈련 참여 시 적절한 복장과 준비물을 갖추어야 합니다. 불참 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전에 일정을 확인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예비군 연차별 훈련 종류

예비군 5~6년차 기본 훈련. 작계 훈련